민주, 주류-비주류 '지도부 총사퇴론' 힘겨루기 지속

  • 文선대위, '李 용퇴-朴 잔류' 거론…李 대표, 단일화 연계 최적시기 저울질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선대위 일각에서 이해찬 대표의 자진사퇴론이 제기된 가운데, 인적 쇄신을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 간 힘겨루기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문 후보는 지난 1일 자신에게 이 문제를 맡겨달라며 시간을 벌어놓은 상태지만 쇄신파 일부가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어 인위적 인적 쇄신에 부정적이었던 문 후보의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비주류 쇄신파 의원들은 5일 오전 모임을 가진 뒤 오후에는 문 후보를 만나 결단을 거듭 촉구했다.

'이-박'(이해찬-박지원) 퇴진론으로 수렴되는 지도부 사퇴로 문 후보의 정치쇄신 의지를 뒷받침함으로써 정체상태에 있는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물꼬를 트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이에 당사자인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는 지도부 총사퇴론에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문 후보로서도 쇄신에 대해 후퇴하는 것으로 비쳐질 경우 지지율 등이 단일화 국면에서 악재로 작용할 수 있어 고민이 깊다.

문 후보는 '이-박' 퇴진론으로 대변되는 인적 쇄신에 대한 당 안팎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렴하면서도 내부 갈등이나 상처를 최소화하는 선에서 수습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고 있다.

안 후보와의 단일화 국면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라도 인적 쇄신 부분을 어떤 식으로든 매듭짓고 가야 하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도부 스스로 용퇴를 결정하는 것이 문 후보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이 아니겠느냐는 의견이 나온다.

지도부 부분사퇴론도 거론된다. 지도부 일부만 당의 분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용단을 내리면 지도부 공백사태를 막으면서도 쇄신의 취지를 일정 부분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이 대표가 '용퇴'하는 선에서 매듭짓는 방안이 선대위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이 대표가 조만간 안 후보와의 단일화를 위해 물꼬를 튼다는 명분으로 자진사퇴하는 형태가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선대위 주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다만 문제는 정치적 명분이다. 설사 이 대표가 '용퇴'를 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거취문제를 야권후보 단일화 등 정치적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것이 예상된다.

이 대표 입장에서는 계파간 권력투쟁의 '희생양'이 되는 형태의 불명예 퇴진보다 적절한 시기에 문 후보에게 단일화 등의 활로를 열어준다는 명분을 갖고 사퇴하는 것이 모양새가 좋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