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압박에도 카드사 고금리 장사 '여전'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신용카드사들이 금융당국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리볼빙,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 고금리 대출의 수입비율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를 제외한 모든 전업계 카드사가 저신용자의 ‘돌려막기’ 수단으로 이용되는 리볼빙의 수수료 수입비율을 올해 3분기에 인상했다.

수입비율은 카드사가 리볼빙으로 얻은 수익을 연평균 금리로 환산한 것이다. 이 수치가 25%라면 리볼빙 대출로 100만원을 빌려주고 25만원의 이자를 받았다는 뜻이다.

KB국민카드의 올 3분기 대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비율은 25.89%로 전분기(24.18%)보다 1.71%포인트 늘었다. 결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 비율도 22.09%로 전분기(20.87%) 대비 1.22% 높아졌다.

신한카드의 대출성과 결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비율은 23.53%와 20.76%다. 각각 1.75%포인트와 0.52%포인트 늘었다.

롯데카드도 3분기 결제성과 대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비율이 19.22%와 22.9%로 각각 1.06%포인트, 0.69%포인트 늘었고, 하나SK카드의 결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비율과 현대카드의 대출성 리볼빙 수수료 수입비율도 각각 0.08%포인트, 0.01%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국민카드와 현대카드는 올 3분기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도 증가했다. 두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은 각각 21.85%와 21.7%로 전분기 대비 0.81%포인트, 0.62%포인트 올랐다.

은행계 카드사들도 마찬가지다. 외국계인 씨티은행은 올 3분기 카드론 수수료 수입비율이 16.75%로 전분기 대비 1.13%포인트나 올랐다. 결제성과 대출성 리볼빙 수입비율도 각각 0.14%포인트, 0.22%포인트 인상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카드론 수수료 수입비율을 0.05% 포인트 높였다.

NH농협은행은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수수료 수입비율을 이 기간 각각 0.34%포인트, 0.79%포인트 올렸다. 우리은행은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이 0.18%포인트 증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금리 카드 대출을 쓰는 회원들이 증가하면서 카드사의 수입비율이 올라간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