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적으로 자금 조달이 유리한 시중은행이 금리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지방은행이 고객 유치 경쟁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외환, 기업은행 등 6개 시중은행들이 올해 들어 새로 개설한 점포는 총 126개(출장소 포함)다.
이 가운데 서울과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과 세종시를 제외한 비수도권에 개설된 점포는 모두 43곳이다. 전체 신규 점포 가운데 34%가 지방에 세워진 것이다.
우리은행의 신규 점포 개설이 두드러진다. 우리은행은 올해 들어 총 55개의 점포를 신설하며 은행권 가운데 영업점을 가장 많이 늘렸다. 비수도권에 세운 점포만 26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타 은행에 비해 지방 중소거점도시와 산업단지 등 금융잠재력이 우수한 지역 등에 점포가 취약하다는 판단에 따라, 고객 편의를 위해 점포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외환은행의 경우 연내 3개의 지점을 더 세울 예정이다. 신설 점포는 각각 경남 김해와 부산, 충남 지역으로 모두 비수도권에 신설된다.
외환은행 측은 “향후 외환은행의 강점 및 차별성 강화를 위해 공단과 대기업 사옥 등 기업형 및 국제공항 등 외국환 전략 점포를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예금은행의 대출금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차츰 둔화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이 1월 4.8%에서 8월 현재 0.8%까지 떨어진 반면 일부 지방은 오히려 증가율이 상승하고 있다. 광주는 8.5%에서 12.1%로, 울산이 4.5%에서 10.2%로 올랐으며 충북 지역도 4.9%에서 7.1%까지 높아졌다. 충남과 전북, 전남, 제주 역시 상승세다.
하지만 이들의 행보에 지방은행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지난달 말 금융당국은 6개 지방은행장들을 불러 수도권 지역에서의 점포 확대경쟁을 중지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지방은행의 위기 관리 능력이 취약하다는 점을 감안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실을 차단하겠다는 경고였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이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서, 기존 거래 고객들도 뺏기게 생겼다는 것이 지방은행들의 항변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경우 지방은행보다 신용등급이 높고 자금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지방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낮을 수밖에 없다”면서 “승부가 뻔한 경쟁”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방은행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는 태생적 특성 때문에 중소기업 의무대출비율이 60%로 시중은행(45%)보다 높다. 상대적으로 위험부담이 높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수익성이 더 떨어진다는 것이 지방은행권의 주장이다.
다른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역 내 파이는 한정돼 있는데 그것마저 시중은행이 가져가면 우리는 어떻게 살란 말이냐”며 “가뜩이나 좁은 지역에서 고객 유치 경쟁을 하게 되면 지방은행이 훨씬 불리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