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 크기 QR코드로 ‘가짜 약’ 판별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먼지 크기의 QR(빠른응답)코드를 이용해 정품 약물과 위조 약물을 판별해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박욱 경희대 교수와 권성훈 서울대 교수가 30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QR코드를 넣어 의약품 위조 방지를 예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동안 제약업계는 복제가 어려운 포장인증을 이용해 정품을 구분했지만 포장을 제거하면 내용물을 구별하기 어렵고 알약에 직접 바코드 등 식별코드를 새길 경우 물리적 충격으로 오류가 나는 일도 많았다.

연구팀은 인체에 해롭지 않은 폴리머 입자로 대용량 정보를 넣을 수 있는 QR코드를 만들어 약의 이름·성분·제조지·제조일·유통기한 등 다양한 정보를 약물에 담았다.

또 최대 20%까지 손상되더라도 정보 복원을 할 수 있고 360도 모든 방향에서든 고속 인식이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