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 체육행정 종합계획인 ‘2020 체육정책 마스터플랜’을 마련해 현재 53%에 불과한 서울시민의 주1회 스포츠 참여율을 2020년까지 70%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체지방과 몸무게를 줄이고 근력을 키우는 등 체력을 전년보다 3% 이상 향상시키고 의료비를 전년보다 적게 쓴 것을 입증하면 건강보험료 3%를 인하해주는 ‘건강보험료 디스카운트 제도’를 마련해줄 것을 보건복지부에 건의키로 했다. 연 1~2회에 불과한 관전 스포츠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구 당 연간 30만원 한도의 ‘스포츠 관람비용 소득세 공제제도’ 신설도 기획재정부에 건의했다.
또 시는 의사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내년부터 지역 1차 의료기관에서 약품 처방과 함께 ‘스포츠 활동 처방’을 병행할 계획이다.
정광현 시 체육진흥과장은 브리핑에서 “주1회 스포츠 참여율이 90%에 이르는 스웨덴이나 노르웨이는 의사가 스포츠 활동을 처방하고 있는데 효과가 크다”며 “의사가 운동이 꼭 필요하다고 하면 운동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가 작년 9~10월 서울연구원에 의뢰해 시민 1000명을 조사한 결과 주 1회 30분 이상 스포츠 참여율은 53%로 스웨덴이나 노르웨이의 90%, 일본의 70%에 비해 크게 낮았다.
시는 시민들의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간 4차례 열던 서울성곽 트레킹 행사와 연 7차례 진행하던 서울시민 등산학교를 매달 1차례 열기로 했다.
아울러 2020년까지 생활체육지도자와 체육보조교사 등 일자리 1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저소득층도 운동할 수 있도록 내년부터 시내 사회복지시설 416곳에 스포츠 교습과 치료를 담당할 생활체육지도사 10명을 배치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청에 요청해 대학생과 청년 스포츠 자원봉사자 500명을 투입해 스트레칭, 요가, 댄스 등을 가르칠 예정이다.
또한 저소득층 스포츠 바우처를 7만원에서 2014년 10만원까지 확대해 체육시설 이용 기회를 늘린다.
장애인 전문 생활체육지도사는 현재 39명에서 2020년까지 80명으로 확충해 8%에 불과한 장애인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율을 배로 높이고, 어르신 체조와 댄스 교습 교실도 개최할 계획이다.
1인 가구 여성을 대상으로 한 호신술, 종합무술, 요가 등의 강좌도 시·구립 체육시설에 야간이나 주말에 집중적으로 개설한다.
현재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1인당 공공 체육시설 면적을 2020년까지 2.88㎡으로 배 이상 확대하고 올림픽 주경기장, 잠실·목동 야구장 등 낡은 스포츠시설을 개선할 예정이다.
현재 시내 체육시설은 1만4486개 중 공공체육시설은 2712개로 강남(285개), 노원(243개), 서대문(142개) 등의 순으로 많고 용산(37개), 동작(37개), 광진(33개등) 등 순으로 적다. 민간체육시설은 1만1774개로 집계됐다.
서울시민 1인당 공공체육시설 면적은 1.22㎡로 전국평균 1.8㎡ 이하이며 강서(4.29㎡), 중구(4.07㎡), 도봉(4㎡) 등이 높고 은평(0.31㎡), 성북(0.40㎡), 관악(0.46㎡) 등이 낮다.
시는 현재 공사 중인 고척동 돔구장에 서울 연고 3개 프로구단 중 1개 구단을 내년 상반기까지 이전한다. 현재 2만5000석의 잠실야구장을 3만~4만석까지 신ㆍ증축 하는 방안은 재원이 5000억원 가량 들어 장기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