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일본 주요 언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본 자민당과 민주당이 상반된 해법을 내놓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일본 총선이 다음 달에 실시될 예정인 가운데 아베 신조 자민당 총재와 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경제 활성화 대책에 대한 다른 견해를 점점 뚜렷히 나타내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주말 치열한 선거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아베 신조 총재는 논란을 불러 일으킨 경제 정책이나 외교 정책 등에 있어선 몇 주 전보다 목소리를 많이 낮췄지만 침체 국면에 접어든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여전히 강력하게 주장했다.
자민당은 경기 부양을 위해 공공 부문에 수조엔의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21일 자민당은 대담한 금융완화 등을 통해 연간 3% 이상의 경제성장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총선 공약을 발표했다.
올 3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9%, 전년 동기 대비 -3.5%로 지난해 4분기 이후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장 급격하게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수출은 전분기보다 5%, 민간수요가 0.6% 감소해 경기 위축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자민당은 대규모 재정투입으로 국내 수요를 늘려 경기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집권 민주당은 대규모 재정투입은 현재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재정위기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지난 25일 한 토크쇼에 출연해 “대규모 재정투입은 위험하다”며 “청정 에너지 분야 등에 투자해 일본의 국가부채를 심각한 수준으로 늘리지 않으면서 성장을 촉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일본의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 총부채 비율은 229.6%로 선진국들 중 최고 수준이다. 같은 해 그리스는 165.4%, 미국은 102.9%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