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 빈미영 연구위원은 '스마트 모빌리티 세상'이란 제목의 연구에서,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10~60대 수도권 통행자 18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스마트폰 대중교통정보 활용으로 얻어지는 통행비용 절감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도권의 스마트폰 대중교통정보 이용에 따른 시간절감 편익은 하루 24억 7천만 원으로, 연간 비용절감은 평일 기준 250일을 적용해 총 6,175억 원으로 추정됐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대중교통정보 이용률(95%), 정보이용에 따른 1인 당 통행시간 단축 효과(9분), 2011년 기준 수도권 인구(2,562만252명), 통행률(83%), 대중교통수단 이용률(30%), 스마트폰 보급률(53%), 시간가치(5,000원/시간) 등을 적용해 산정한 수치다.
대중교통 노선정보는 전체 응답자 183명 중 94.5%인 173명이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승용차 통행자 중 스마트폰용 내비게이션 어플 이용자는 64명(51.6%)으로 절반 이상을 기록했다.
대중교통 이용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콘텐츠는 ‘실시간 도착정보’였고 위치 및 지도정보, 버스노선정보, 교통소통정보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좋아진 점은 ‘낯선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을 꼽았으며 대기시간 감소가 뒤를 이었다.
빈미영 연구위원은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범위가 개인의 이동경로 등 개인정보 확보 어려움으로 한계를 갖는다”며, “다양한 교통정보 콘텐츠 개발을 위해 개인정보는 보호하고, 민간의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해 개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