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여론은 비단 한국에서뿐만이 아니다. 미국에서도 무참한 총기 살인이 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지난해 12월 미국 코네티컷주 샌디훅 초등학교에서 애덤 랜자(20)가 20명의 아이들 생명을 빼앗은 데 이어, 지난 21일에는 15세 소년이 마트에서 가족 5명을 살해해 논란이 됐다. 미국에서 한 해에 발생하는 총기사고 관련 사망자는 평균 9만7820명에 달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총기 규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미국 상원 민주당은 이에 맞춰 공격용 무기를 규제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과 미국총기협회가 총기 규제를 반대해 법안 통과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수정헌법 2조에 규정된 총기 소지권 침해라는 이유를 들며 총기규제법을 만들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수천명의 총기 소지 지지자들이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미국은 1994년 민주당 출신인 빌 클린턴 대통령이 공격무기를 금지하는 법을 도입했으나, 10년 뒤인 2004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폐기했다. 미국이 자유의 나라이긴 하지만 생명을 빼앗을 자유를 허락하는 것은 안 된다. 가족을 죽인 15세 소년의 살해 동기는 어머니와의 말다툼이었다. 생명의 가치를 모르는 이들에게 총은 그저 장난감에 불과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