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향후 창조금융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 예정이다. 그는 지난달 18일 취임식을 통해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해 창조금융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에 대한 금융당국의 강력한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민병덕 국민은행장도 지난 1일 2분기 조회사를 통해 “대한민국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과 같은 혁신과 창조 중심의 기업이 나타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같은날 금융연구원은 창조금융센터를 공식 발족했다. 윤창현 금융연구원장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창조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창조금융연구센터를 만들었다”며 “창조경제를 위한 지원과 동시에 금융산업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후보마저 같은날 열린 국회 청문회에서 창조경제에 대한 질문에 원론적인 답변에 그치면서, 창조경제 개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창조경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 창조금융을 하겠다고 나선 금융권 인사들을 향한 비난도 제기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이 구체적인 실천 전략없이 막무가내로 창조경제를 지원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새 정부 코드 맞추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건우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팀 박사는 “창조경제에 대한 개념 자체가 모호한 시점에서 지원을 하겠다고 나선만큼 비난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이는 자칫 새정부에 대한 '맹신'으로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현재 창조경제란 콘텐츠나 ICT 기술을 이용해 융합된 창조적인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는 개념에 힘이 실리고 있다”면서 “이러한 것을 금융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나선 것에 대해 나쁘다고만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기홍 외환은행 경제연구팀 박사는 “현재 비난을 잠재우기 위해선 금융권에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실행계획을 세워 소신껏 지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