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30일 지난해 504개 공공기관이 총 1916억원 규모의 사회적 기업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구매비율은 지방자치단체(1.2%),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0.5%), 교육청(0.4%), 국가기관(0.2%) 순이었다. 특별법인(0.02%) 국가기관(0.2%) 기타공공기관(0.3%) 등은 구매 실적이 저조했다.
구매액이 가장 큰 기관은 경기도(174억원)였고 서울시(114억원), 한국수력원자력(97억원), 한국도로공사(52억원)가 뒤를 이었다. 구매비율 기준으로는 한국문학번역원(기타공공기관)이 36.85%로 가장 높았다.
올해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액이 전년 대비 늘어날 전망이다. 고용부가 발표한 올해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계획에 따르면 전년대비 63.5% 증가한 3133억원으로 집계됐다.
배영일 고용노동부 사무관은 “오는 2017년까지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 실적 1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지난해 실적 및 올해 목표 실적 등을 볼 때 충분히 달성 가능해 보인다”고 말했다.
고용부는 사회적 기업의 제품 구매를 높이기 위해 구매 실적 공고제도와 함께 공공구매지원센터(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 일반 시민이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이해하고 착한 소비에 참여하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다양한 형태의 온·오프라인 판매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공공기관의 지난해 물품 총 구매액은 35조9918억원으로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비율은 0.5% 수준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