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쇄신특별위원회는 30일 전체회의를 열고 지난해 총·대선에서 공약한 정치쇄신 과제에 대한 본격 논의를 시작했으나 입법의 '속도'를 놓고 여야 간 입씨름이 벌어졌다.
민주통합당 소속 의원들은 국회의원 겸직 금지 등은 지난해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진 만큼 빠르게 처리하자고 주장했지만 일부 새누리당 의원은 신중론을 폈다.
민주당 김태년 의원은 "지난해 국회쇄신특위가 겸직 금지 법안 등 10개 법안을 발의했으나 현재 운영위원회에 계류돼 진척되지 않고 있다"며 "이를 조속히 통과시키도록 특위가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
이들 10개 법안은 겸직 금지 외에도 헌정회 연로회원 지원 개선, 국회 인사청문회 개선, 국회폭력 예방과 처벌 강화 등에 대한 내용이다.
김진표 위원장도 "이 법안들은 이미 여야가 한번 합의를 이뤘다"며 "가능하다면 이번 회기가 끝나기 전 입법이 완료될 수 있도록 교섭단체별 합의를 이뤘으면 한다"고 가세했다.
민주당 측은 특위에 법안심사권이 없는 만큼 결의안을 채택해 운영위원회에 법안 처리를 압박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새누리당 간사인 박민식 의원은 이미 운영위에 상정된 법안을 재론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 의원은 "의원 겸직 금지 말고도 다른 개선할 점이 많다"며 "효율적인 특위 운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서 일부 의원은 전날 특위가 선별한 16개 주요 정치쇄신 의제 외에도 몇몇 의제를 추가로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은 국회의원 후원회 제도의 개선을 요구했고, 민주당 황주홍 의원은 "지방선거에서 중선거구제가 유지되는 바람에 지방자치가 제대로 기능을 못한다"며 소선거구제 전환을 검토하자고 건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