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오후 9시55분 "10시경 긴급브리핑을 할 예정이며 20-30분 늦어질 수도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출입기자들에게 발송했다. 그러나 30분이 지나도록 브리핑은 이뤄지지 않다가 밤 10시30분쯤 갑자기 공개 브리핑 계획을 전격 취소하고 사과문을 발표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청와대의 심야 사과문 발표는 전날 윤 전 대변인을 상대로 한 민정수석실의 조사와 이날 새벽 전격경질에 이은 속전속결식 조치 등으로 미루어 상황이 매우 중대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번 사안을 매우 위중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자칫 꾸물대다가는 방미 성과가 묻히는 것은 물론 새 정부 초반 ‘인사파동’ 논란이 재연될 수 있음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 들어 청와대의 대국민 사과는 지난 3월30일 인사파동이 확산되자 김행 대변인이 허태열 비서실장의 사과문을 ‘17초 대독’한데 이어 2번째이다.
그러나 사과 주체가 홍보수석 수준으로 낮은데다 4문장의 짧은 사과문이어서 다시 한번 진정성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CBS 노컷뉴스’는 “청와대는 당초 방미 일정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함구령을 유지해 윤 대변인 경질 발표를 박 대통령이 귀국한 뒤 발표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보도해 파문이 일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