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5/31/20130531000112_0.jpg)
김 대표는 이날 영등포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정부는) 공공의료 정상화에는 지자체 일이라 나몰라라 하고, 부실보육은 지자체 탓이라고 나몰라라 한다”며 “원전안전 불감증은 납품업체 탓으로 돌리고, 서민납세 기업 탈세 등 세정 부정에 뒷북친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발생한 라오스의 탈북 청소년 북송사건 등을 언급하면서 “탈북청소년의 SOS 요청(구조요청)을 외면하는 등 정부가 발벗고 나서기보다 뒷짐지고 수수방관한다”며 ‘방관정부’라고도 비판했다.
이어 김 대표는 “민주당은 6월 국회에서 ‘을(乙)을 위한 국회’를 해내서 대한민국 정상화에 매진하겠다”면서 “후퇴된 경제민주화를 정상화하고 갑을관계를 정상화하겠다. 공공의료 보육을 정상화하고 국민안정과 공공세정 정상화에 매진하겠다”며 정부여당에 동참을 촉구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진주의료원 폐업과 관련, “진주의료원 운명이 공공의료의 미래”라면서 “도지사 개인이 공공의 선을 마음대로 폐쇄하면 도지사는 공공의 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전 원내대표는 “진주의료원 문제는 국민 생명을 지키는 문제고,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다.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면서 “(정부·여당은) 말로만 공공의료 확대 타령을 말고 행동으로 의료원 살리고 공공의료 서비스에 대한 대책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며 국정조사 수용을 거듭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