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13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이나 기타 실물자산 외에 금융자산만 10억원이 넘는 ‘한국 부자’는 2011년 14만2000명에서 2012년 16만3000명으로 14.8% 증가했다. 2011년 증가율 8.9%보다 높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만8000명으로 전국 부자 수의 48%를 차지했다. 인구 대비 부자 수 비율도 서울이 0.77%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2009년 이후 한국 부자 수는 연평균 14.9% 증가한 반면, 서울은 13.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울산은 19.6%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서울 부자 중 강남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비중은 2009년 39.2%에서 2012년 37.6%로 하락했다. 부자의 지역적 쏠림 현상이 다소 약해졌다는 의미이다.
또 부자의 자산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부동산 비중이 총자산의 55%로 금융 및 기타자산에 비해 높았다. 단, 지난해 58%에 비해선 부동산 비중이 소폭 낮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