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노동조합 사무실에서 만난 노조위원장은 참담한 표정으로 기자에게 이처럼 말했다.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던 날이었다. 이번 민영화 방안은 지방은행과 증권계열, 지주 및 우리은행 등 자회사별로 쪼개 파는 3단계 방식으로 정리됐다.
노조는 속도전으로 밀어붙이는 민영화를 ‘졸속 민영화’로 규정지었다. 이번 방안은 그저 빠른 매각에 급급해 경영권 프리미엄은커녕 헐값으로 팔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노조는 '관치'를 언급했다. “민영화 추진할 때마다 우리금융은 컨설팅 비용만 몇 백씩 냅니다. 12년간 부실이란 부실은 다 떠안으면서 정부 뜻대로 흘러오다 이제는 아예 기한 내에 해체하라고 하니 이런 관치가 또 어디있습니까.”
우리금융은 지난 200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범한 금융지주회사다. 한빛은행과 평화, 경남, 광주은행 및 하나로종금 등 5개 금융회사가 합쳐져 탄생했다. 최초라고는 하나 시작부터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안고 출발한 아픈 역사가 있다.
그런 우리금융이 이제는 스스로 역사속으로 사라져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금융권의 시각은 반반이다. 금융당국의 의지가 확고한만큼 이번엔 민영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 있는 반면, 한편에서는 비인기 계열사 및 우리은행 인수에 대한 부담으로 매각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조기 민영화'에 방점은 찍혔지만 매각만 성사하면 된다는 시각은 위험하다. 민영화의 3대 원칙 중 하나인 '금융산업 발전'이야말로 어렵지만 지켜야 할 원칙이다. 껍데기 뿐인 민영화는 우리나라 금융을 오히려 퇴보시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다음달이면 우리금융은 민영화를 목표로 4번째 도전을 시작한다. 과정은 험난하겠지만 민영화의 본래 취지를 잃지 않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