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측은 개성공단 사태의 재발방지와 북한의 사태에 대한 책임 인정을 요구했고, 북측은 조속한 공장 재가동 우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이날 회담에서 우리 정부는 "누가 보고 들어도 이제는 더 이상 절대 일방적으로 통행과 통신을 차단하고 근로자를 철수시키는 일은 없겠구나 하고 인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북측을 압박했다. <관련기사 6면>
우리측 수석대표인 서호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전체회의 기조발언에서 "무엇보다 개성공단은 안전한 공단이 돼야 하며, 자유로운 기업활동이 보장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측의 일방적인 공장 가동 중단조치로 입주기업이 입은 피해에 대해 북측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개성공단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외국기업도 투자하고 입주할 수 있도록 개성공단을 국제적인 공단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측의 수석대표인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은 기조발언에서 '6·15 공동선언', '우리민족끼리' 정신 등을 언급하며 "개성공단 정상가동에 저촉되는 일체의 행위를 중지할 것"을 주장하며 개성공단 문제의 책임을 우리 정부에 돌렸다.
아울러 "개성공단의 설비 점검 및 정비를 조속히 끝내고 재가동에 들어가도록 할 것"이라며 신속한 재가동이 우선이라는 북측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남북 대표단은 이날 전제회의에서 기조발언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교환한 후 오후 수석대표 접촉을 이어가며 협상에 나섰다.
이날 회담을 위해 개성공단으로 출발하기 전 우리측 서 단장은 남북회담본부에서 "우리 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입각한 상식과 국제규범에 맞는 합의를 이루어내는 것이야말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면서 "남북간의 작은 신뢰를 쌓아 보다 큰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돌아오겠다"고 회담에 대한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