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방통계청이 1일 발표한 ‘7월 대전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107.4로 지난 해 같은 달과 비교해 1.2% 상승에 그쳤다.
이는 전국 평균 상승률 1.4% 대비 0.2% 낮은 수준이며, 전국의 7월 물가지수와 동일하고, 전년 7월 대비 특․광역시 중 인천에 이어 가장 낮은 상승폭 나타내고 있다.
대전의 소비자물가는 올해 1월 0.8%, 2월 0.7%, 3월 0.8%, 4월 0.8%, 5월 0.7%, 6월 0.8%로 0%대 상승률을 유지하다가 이달에 1.2% 상승하였으나 1%대 이하의 낮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은 지난 해 7월 대비 0.9% 하락했고, 전기수도가스 요금은 3.8%, 공업제품은 1.7% 각각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지난 해 보다 배(54.9%), 마른멸치(51.3%)는 상승한 반면, 파(-43.7%), 고구마(-42.6%), 고춧가루(-26.1%), 돼지고기(-7.0%)는 하락하여 0.9% 하락세를 보였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0.5% 상승했고, 지난 해 7월 대비 2.8% 하락했다. 지난 해 7월과 비교해 신선채소가 2.8%, 기타 신선식품이 12.1% 각각 내렸다.
또한, 서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지난 해 동월 대비 0.6% 상승에 그쳤다.
그러나 지역난방비(9.0%), 전기료(4.2%), 도시가스(4.0%) 등이 상승하며 전기 ‧ 수도 ‧ 가스는 전년 7월 대비 3.8% 상승했다.
대전시는 공공요금 동결 정책 기조 속에 지난 6월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도시가스요금을 동결했으나, 산업통상자원부의 도시가스 도매요금 및 지역난방비 요금 인상 승인이 상승을 이끌게 되었다.
시 관계자는 “지역물가 안정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인 서민물가 상승 억제 정책을 펴나갈 것”이라며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통시장을 이용한다든지 공동구매 및 꼭 필요한 만큼만 구입해 낭비를 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등 고물가 시대에 지혜로운 소비생활을 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