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의원은 지난달 29일부터 일주일간 노원구 상계동 자택 등 모처에서 독서와 휴식을 하며 '조용한 휴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사이 국정원 국정조사가 파행되면서 민주당은 '대선 불복'이라는 부담감에도 불구하고 장외투쟁에 나섰고, 여야는 극한대립 상태로 맞서게 됐다.
안 의원은 그동안 국정원 국조 파행, 서해 NLL(북방한계선) 논란 및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증발을 둘러싼 여야 공방에 대해 '국회의 직무유기', '소모적 대립'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해왔으나, 정작 자신의 입장이나 해법을 분명하게 내놓지 못해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대해 어떤 입장을 표명할지, 민주당 등 야권에서 제기되고 있는 '촛불집회' 참여 요구를 받아들일지 등이 주요 관심사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안 의원이 국정원 국조를 통해 진실규명을 해야 한다는 입장과는 별개로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김성주 의원은 최근 안 의원의 멘토 중 한 사람인 최장집 '정책네트워크 내일' 이사장의 특강에서 "구경꾼으로 지켜보다 '너희끼리 싸워서 나라가 엉망'이라며 반사이익으로 승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안철수 세력이 민주주의 회복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안 의원의 고민은 민주당 문재인 의원처럼 대선후보 당사자였다는 점이다. 자칫 시민단체에 휘둘려 '대선 불복' 논란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문제가 정리되면 10월 재·보선이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만큼 인재영입 등 독자세력화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안 의원은 지난 4월 국회 입성 후 각계각층 사람들을 활발히 만나왔고 나름 성과를 내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재까지 확실하게 지지의사를 표명한 유력 인사는 없다.
이와 함께 안 의원은 이달 중 정치제도 개혁 관련 세미나를 개최, 기초선거 정당공천 배제 등 자신의 정치개혁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제1호 법안 발의 및 첫 정기국회 준비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