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놀라움의 여정’이라는 콘셉트로 1352㎡ (409평) 부스를 마련하고 커브드 OLED TV·갤럭시 노트3·모션 싱크 등 자사 기술력이 결집된 제품을 대거 전시한다.
◆ UHD TV의 생생함…밀림의 현장감 조화
삼성전자 부스에서는 ‘KES 혁신상’을 받은 85형 UHD TV와 55형 커브드 OLED TV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입구부터 85형과 98형 UHD TV가 현실같은 영상과 전에 없던 웅장한 규모로 차세대 TV의 면면을 선보인다.
지난 8월 서울 청담동 비욘드 뮤지엄에서 진행했던 ‘삼성 UHD TV와 함께 하는 멸종위기 동물전, UHD ZOO’를 다시 선보이며 관람객들이 신비로운 밀림 속을 간접 경험할 수 있게 했다.
‘UHD ZOO’ 공간을 지나 커브드 OLED TV 전시공간에서는 화면이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은 커브드 OLED TV만의 독특한 프레임 디자인과 부드러운 곡선미, 화면 몰입감을 선보인다.
또한 TV로 오페라 감상·요가·축구 등을 실제현장에서 보고 참여하는 것처럼 생생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전시공간을 꾸몄다.
삼성전자는 UHD TV·커브드 OLED TV·스마트 TV의 ‘삼각편대’로 기존 TV를 넘어선 미래시장에 대한 개척 의지를 내보인다는 방침이다.
이와함께 △시리즈9 캘리브레이션 모니터(S27B970D·S27B971D) △동시에 10곳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모니터 시리즈7(S24C770T) △콘텐츠에 따라 화면을 가로·세로로 바꿔 가며 쓸 수 있는 광시야각 모니터(S27C750P) 등 한 단계 진화한 디스플레이 제품들도 다양하게 선보였다.
또 화면 간 경계가 3.7㎜로 신용카드 4장 두께에 불과한 세계 최소 베젤의 비디오월용 상업용 디스플레이(LFD)와 세계 최대 크기인 95형 LFD를 동시에 소개했다.
◆‘세상을 바꾸는 혁신가전’ 한자리에
삼성전자는 ‘기존에 없던, 세상을 바꾸는 삶의 혁신’을 모토로 프리미엄 생활가전도 대거 전시했다.
모션싱크 청소기는 본체와 바퀴가 따로 움직이는 ‘본체회전’ 구조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회전하고 급격한 방향 전환에도 뒤집어지지 않는 ‘이동의 자유’를 선사한다.
특히 모션싱크 청소기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모형을 전시해 혁신기술의 구현 원리를 소개한다.
최근 고객 선호도를 반영해 스파클링 워터를 자동 생성해주는 것은 물론, 탄산의 농도까지 3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삼성 지펠 스파클링 냉장고’도 선보였다.
△냉장실을 인케이스와 쇼케이스의 이중공간으로 분리한 ‘푸드쇼케이스’ 냉장고 △냉장·냉동·김치보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지펠 T9000 김치플러스’ 냉장고 △하루 60분 ‘쿨샷’ 기능으로 저염 김치까지 아삭하고 맛있게 보관해주는 ‘지펠 아삭 M9000’ 김치냉장고도 소개됐다.
이밖에도 삼성전자는 내부가 훤히 보이는 투명한 구조의 모형제품으로 ‘버블샷3 W9000’ 세탁기의 세제 자동투입 기능과 물을 사용하지 않는 ‘에어 스피드 드라이’ 건조방식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이 혁신기술을 감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갤럭시 노트3·갤럭시 기어 등 신개념 스마트기기 사용문화 창조
삼성전자 모바일 전시공간에서는 신개념 스마트기기 사용문화를 선도하는 갤럭시 노트3와 갤럭시 기어를 만나볼 수 있다.
갤럭시 노트3는 새로워진 ‘S펜’과 5.7형 대화면의 조화로 더욱 편해진 멀티태스킹 경험을 선사한다. S펜을 뽑거나 스크린 위에서 S펜의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5가지 주요 기능을 한 번에 실행시킬 수 있는 ‘에어 커맨드’가 나타난다.
새로운 트렌드를 창조할 패션 웨어러블 기기인 갤럭시 기어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 속에 두고 손목 위에서 곧바로 전화·문자 확인, 사진 촬영 등 주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으로 일상 속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쉽고 편하게 만들어 준다.
미러리스 카메라의 화질과 스마트폰 시장 1위의 기술력을 결합한 신개념 갤럭시NX 카메라도 ‘사진을 찍고, 편집하고, 즉시 공유하는’ 새로운 사용문화를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프린터에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 폰 안에 있는 문서·사진은 물론 e메일과 SNS 내용까지 손쉽게 출력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NFC) 기반 ‘스마트 프린터 NFC’를 전시했다.
또 스마트폰을 도킹해 활용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프린터 제품을 선보이는 등 차세대 모바일 프린팅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