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하원이 지난 5일(현지시간) 일단 정부가 문을 열면 80만명의 공무원들에게 밀린 임금을 소급할 수 있도록 합의를 했지만, 정부를 상대로 사업을 해왔던 민간인들은 정부 폐쇄로 상당한 지장과 손실을 입게 돼 형평성 논란마저 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CNN은 최근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개인 및 단체, 기구의 예를 들면서 사태 해결을 위한 정치권의 노력을 촉구했다.
CNN은 가장 먼저 군인가족의 피해를 지적했다. 군인가족의 경우 당장 급여가 끊기면서 식료품 구입과 자녀양육, 병원진료,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들의 과외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이들의 방과후 활동은 취소하거나 축소했다.
80만명에 이르는 연방공무원들의 경우 추후에 봉급을 소급 지급해 지급한다고는 하지만 당장 아파트 렌트비와 노인 요양비, 학자금 융자금 제때 내지 못하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은 도급업체의 피해도 적지 않다. 연방정부 건물에서 자판기 사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는 손실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미국 전역의 국립공원이 문을 닫으면서 호텔 예약도 뚝 끊겨 평소보다 예약율이 25%이상 줄어 들었다. 여행사의 타격도 만만치 않다. 유타의 한 여행사는 아처스 앤 캐년랜드 국립공원이 문을 닫는 바람에 이달 말까지 공원 내 입장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4만여 달러의 손해가 발생하며 25명의 임시 관광에이전트도 조기 해고 해야만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