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일회성 국감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만큼, 국감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개선을 해야 할 때"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국감은 국회가 행정부를 견제하는 의무의 백미"라며 "국감 중에 계속 반복되는 여당의 비호 행태와 하루만 버티면 된다는 식의 기관·일반증인들의 무책임하고 안일한 대응은 고질적 병폐"라고 비판했다.
전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3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는 데 대해 "회의를 여는 것 자체가 뉴스가 되는 건 심각하고 비정상"이라며 "'측근정치'를 하다보니 회의가 필요없다는 건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이제 불통의 장막 걷고 국민 앞에 나와야 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를 시켜 얼버무리고 대통령 비서실장은 여당 사무총장을 시켜 입장을 전하는 게 박 대통령의 소통인가"라며 "국민은 연출된 쇼가 아닌 대통령의 진심어린 소통을 원한다. 국가기관 대선 개입에 대해 입장을 밝힐지 변죽만 울릴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 인선과 관련, "김 후보자의 내정을 둘러싼 베일이 벗겨지고 있다"며 "'초원복집' 사건과 특수관계가 있다는 인연을 가진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정홍원 국무총리, 김 후보자 등 '초원복집 3인방'의 3각편대 재구축"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그는 1992년 대선 당시 관계기관 책임자들이 모여 지역감정을 자극하며 선거에 개입했던 '초원복집' 사건과 지난 대선 당시의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을 연계시켰다.
전 원내대표는 "'김진태 카드'가 국정원 선거개입 사건을 '제2의 초원복집으로 만드려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갖는다"며 "(대선개입 의혹 사건의) 실체를 축소·은폐하려는 발탁인사라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