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1/20131111142620868225.jpg)
<우라늄 저감 저가보급형 나눔 정수기(RO)>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지하수 방사성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민·관 협력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코웨이와 함께 상수도 미보급 지역 중 우라늄·라돈 등 자연방사성물 검출 지역을 선정하고 소형 정수기 100대를 보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자연방사성물질이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우라늄·라돈 등 40여종의 원소로 원자핵이 붕괴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원소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과 코웨이는 이달 중순부터 우라늄·라돈 저감장치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코웨이는 지하수 중 우라늄을 걸러줄 수 있는 소형 정수기를 약 100가구에 무료로 설치하고 정수기 성능평가 및 검증도 진행한다.
코웨이는 정수기 설치 및 사후관리(5년) 비용 약 1억7000만원을 부담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은 정수기 성능 평가비용(1년간) 약 5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과학원은 휘발성이 큰 라돈을 저감하기 위해 지하수의 사용량과 라돈의 농도를 고려한 맞춤형 공기주입장치(폭기장치)를 개발하는 등 연구사업도 진행한다.
라돈의 경우는 지하수의 음용보다 호흡경로를 통한 건강상의 위해도가 더욱 우려돼 폭기 장치를 집 밖의 지하수 저장 물탱크 등에 설치해야하기 때문. 특히 국내 개인 관정에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적합 장치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인다.
해외 폭기시설의 설치비용은 약 2000~5000유로(한화 약 290~720만원)로 비싸다. 때문에 저가의 맞춤형 저감장치 개발과 보급이 절실한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국내에는 개인관정의 폭기시설을 설치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면서 “오는 2014~2015년까지 기존 마을 상수도 규모에 설치된 폭기장치 및 해외 폭기장치 대비 저가의 개인관정 맞춤형 장치 개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방사선은 α선·β선·γ선 등이 있고 위해성은 외기에서 γ>β>α 순이나 식품을 통해 인체에 침투하는 경우 α선이 피해 유발한다"면서 "이 시범사업은 최근 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농어촌 일부 지역의 지하수에서 자연방사성물질이 높게 검출돼 지역주민의 건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추진됐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