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3/20131113131804231050.jpg)
같은 파4홀이라도 어떤 곳은 300m 이하로 짧은가 하면, 어떤 곳은 400m 안팎으로 길게 셋업되기도 한다. 길이가 100m정도 차이가 나는데도 골퍼들의 머리속에는 ‘파4’만 입력돼 있고, 그같은 전제에 따라 홀을 공략하곤 한다.
그러다 보니 긴 홀에서 파는커녕 빅 넘버가 나왔을 때 후회하기도 하고, 그 여파로 나머지 홀 스코어를 잡치기도 한다. 코스의 ‘파’에 연연하다 보면 즐거움 대신 중압감속에서 플레이를 할 수밖에 없다. 기량이나 코스 길이, 그날의 변수 등에 따른 ‘나만의 파’를 설정하여 홀을 공략하는 것은 스마트한 접근이다.
한 홀의 파는 스크래치 골퍼(핸디캡이 0인 골퍼)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대부분 골퍼들은 까다롭다싶은 홀에서 파보다 많은 스코어를 기록하게 마련이다. ‘나만의 파’ 전략도 특정홀의 파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현실적이다.
단, ‘개인 파’를 설정했으면 그에 맞춰 홀 공략법을 짜야 한다. 기적같은 샷에 대한 미련은 빨리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오거나 바람부는 날= 볼이 맑은 날보다 덜 나가기 때문에 길다싶은 홀에서는 ‘파+1’전략을 짜는 것이 현명하다. 예컨대 길이가 370m이상 되는 파4홀이라면 파를 5라고 생각한 뒤 3온2퍼트를 노리는 것이다. 그것이 무리하게 2온을 노리는 것보다 결과면에서 나을 때가 많다.
◆핸디캡이 높은 홀= 그 코스에서 핸디캡이 1,2인 곳은 파에 비해 길거나 유달리 까다로운 홀이 지정되게 마련이다. 뉴서울CC북코스 15번홀(파5)이나 남서울CC 18번홀(파4) 등을 연상해보라. 그런 홀에서는 웬만한 아마추어들은 레귤러 온을 하기 어렵다.처음부터 파6이나 파5로 여기고 클럽선택을 하는 것이 보기 이하의 스코어를 낼 수 있는 길이다.
◆170m 이상의 파3홀= 그린 주위에 벙커나 워터해저드까지 있다면 처음부터 파4홀로 생각하고 레이업하여 2온2퍼트를 노리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잘 치는 아이언으로 티샷을 하여 잔디가 좋은 곳에 볼을 갖다놓은 뒤 세컨드 샷을 퍼트하기 쉬은 곳에 떨어뜨리는 것이다. 그러다가 2온1퍼트라도 되면 대성공이다.
◆파5홀= ‘보기 플레이어’들은 파5홀에서 더블 보기나 트리플 보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샷을 하면 할수록 실수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파5홀로 인해 그날 원하는 스코어를 내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티샷이 러프로 가거나 처음부터 3온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엔 4온을 노리는 것이 현명하다. 파5홀에서 보기는 크게 나무랄데 없는 스코어다.
◆그린이 아주 넓거나 브레이크가 심할 경우= 정규타수에 볼을 그린에 올렸지만 퍼트거리가 20m정도 되거나, 심한 내리막 퍼트여서 볼을 홀근처에 멈추게 할 수 없을 땐 역시 ‘파+1’전략으로 나가는 것이 4퍼트를 막는 길이다. 3퍼트로 홀아웃한다는 자세로 첫 퍼트를 구상하면 보기는 손쉽게 할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