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8/20131118092745443503.jpg)
-
임영석 한국수출입은행 국별조사실 차장은 18일 오후 수은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가 공동으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PC-16개국은 △아시아지역 라오스,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중남미지역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멕시코, 페루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를 일컫는다.
임 차장은 “중국의 인건비 상승이 최근 3년간 10% 이상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저임금 국가들로 생산기지 이전을 본격화 할 것”이라면서, “인구구조, 임금수준, 개방적 경제구조, 국가채무 수준 등을 감안해 16개 국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 사업환경을 살펴보면 임금수준과 인프라를 모두 고려하면 베트남 라오스 스리랑카 캄보디아가 제조업 생산기지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멕시코는 인건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인프라는 양호하며, 미얀마 방글라데시 우간다 에티오피아 탄자니아는 인프라는 열악하지만 인건비가 저렴해 사업환경은 무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수지와 외환보유액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기대응능력에 있어서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멕시코 페루가 양호한 수준이며, 베트남 미얀마 방글라데시 도미니카는 외환보유고는 다소 부족하지만 경상수지가 상대적으로 건실하다.
임 차장은 “이러한 비교를 종합해 봤을 때 PC-16개국중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멕시코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6개국이 최유망 진출국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기업의 생산기지 이전 및 해당 국가의 인프라 개발 수요 대응을 위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며 “수출금융, 해외투자자금 지원을 통해 생산기지 이전을 추진중인 우리 기업의 금융애로를 해소하고,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중장기 수출금융 등을 활용해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국가 인프라 시장 진출을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있고 인건비 상승 등 투자환경도 악화되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며 “풍부한 노동력과 개방적인 사업 환경을 가진 PC-16개국에 대해 우리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