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19/20131119103726578676.jpg)
서울형 신시장 살리는 10가지 변화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의 전통시장이 한층 젊어진다.
시내 정릉(도심권)ㆍ영천(서북권)ㆍ신창(동북권)ㆍ신원(서남권)ㆍ길동(동남권) 등 권역별 5개 시장이 2016년까지 '서울형 신(新)시장'으로 육성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대책인 '시장-다시살림-프로젝트'를 19일 발표했다. 전통시장을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고 일자리가 창출되는 활기찬 지역경제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취지다.
이번 브리핑에서 박 시장은 "과거 전통시장 지원정책은 하드웨어 위주, 관 주도로만 이뤄졌다"면서 "앞으로 시장과 마을기업, 협동조합까지 함께 참여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콘셉트와 발전 밑그림을 그려 차별화된 경쟁력을 부여하겠다"고 설명했다.
5개 권역별 거점시장은 ▲성북구 정릉시장; 지역커뮤니티와 함께하는 창조시장 ▲서대문구 영천시장; 주변관광자원의 이야기가 넘치는 관광시장 ▲도봉구 신창시장' 즐길거리 넘치는 마을시장 ▲관악구 신원시장; 주변상권과 함께 성장하는 마을시장 ▲강동구 길동시장; 한 번 가면 단골이 되는 마을시장 등으로 콘셉트를 정했다.
협동조합 및 마을기업의 청년 상인을 시장 안으로 유입시켜 소비자 트렌드에 걸 맞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수혈하게 된다. 경영ㆍ마케팅ㆍ문화기획 등 분야별 전통시장 매니저를 4배 이상 확대ㆍ투입할 방침이다.
결재환경 간편화 차원에서 티머니형 신용카드 도입을 적극 검토한다. 과거 고질적 문제였던 3불(불친절ㆍ불결ㆍ불신) 해소를 위해 가격이나 원산지 표시제 정착 유도, 체계적 정기 위생검사 등도 마련한다.
전통시장 정책전담기구이자 컨트롤타워인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를 설립하고, 전통시장 상인 교육과 사랑방 역할을 할 '서울전통시장 상인회관'도 만든다. 더불어 중간조직으로 민간전문가와 상인,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컨설팅단과 사업단 등을 구성해 전방위 지원체계도 갖춘다.
박 시장은 "서울시와 상인들이 공동협약을 한 이번 정책은 실질적으로 상인, 시장, 지역을 살릴 것"이라며 "먼저 5개 시장을 통해 성공시대를 만들면 그 모범을 전체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통시장상인회와 자치구, 서울상인연합회, 서울시는 이날 오전 서울광장에서 동등한 협력관계에서의 상생협약을 맺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