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가계금융·복지>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70% "빚 상환, 부담스럽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19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빚 부담에 지출 줄이는 가구도 80% 가량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지난해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70%가 '빚을 갚기 어렵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가구 중 80% 이상은 빚 부담으로 저축이나 지출을 줄이고 있었다. 

1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공동으로 조사한 '2013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60.7%가 금융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1.8%포인트 확대된 규모다.

이들 가구의 평균소득은 5128만원, 자산은 3억5723만원이었으며 금융부채는 6537만원으로 조사됐다. 금융부채 역시 1년 전보다 4.5% 증가한 것이다. 

금융부채는 담보 및 신용대출, 신용카드 관련 대출 등을 포함한다. 담보 및 신용대출의 가장 큰 용도는 '거주주택 마련'으로 34.7%의 비중을 차지했다. 상환방법은 '만기 일시상환'이 37.9%로 가장 컸다. 

대출기관은 은행이 74.5%로 압도적이었으나 전년보다 1.8%포인트 감소한 반면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전년보다 각각 0.4%포인트씩 늘어나면서 2.1%와 13.3%의 비중을 보였다. 

문제는 이처럼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가 늘면서 빚 상환에 대한 어려움도 확대됐다는 점이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한 가구는 70.2%로 전년보다 2.0%포인트 증가했다. 게다가 이들 가구 중 80.5%는 원금상환 및 이자지급의 부담으로 가계의 저축 및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답했다. 

아예 '빚 상환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가구도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8.1%를 차지해 전년보다 1.1%포인트 늘었다. 부채 상환이 불가능하다는 가구 중에서는 소득 2분위 가구가 2.3%로 전체 소득구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또한 부채 보유가구의 20.5%는 지난 1년간 원리금 상환 시 연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2.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납부 기일을 경과한 이유로는 '소득 감소'가 29.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자금융통 차질(24.8%), 납부기일 착오(18.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가구당 보유한 부채의 규모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에 비해 부채가 증가했다는 가구는 29.2%로 변화가 없는 가구(36.1%)보다 작았다. 부채가 줄었다는 가구도 34.7%로 집계됐다. 

부채가 감소한 가구의 87.8%는 소득으로 빚을 갚았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4.3%의 가구가 '금융자산 처분 및 퇴직(연)금 정산', 3.3%의 가구는 '부동산 및 기타 자산 처분'으로 부채를 상환했다. 

3월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과 원리금상환액비율은 각각 108.8%와 19.5%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2.8%포인트와 2.3%포인트 각각 늘어난 수치다. 

향후 1년 후 부채 규모의 변화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가구의 56.8%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감소할 것이라는 답변도 31.8%로 조사됐다. 

다만 부채가 늘어날 것이라고 답한 11.4%의 가구는 주된 요인으로 거주주택 및 이외 부동산 마련, 전ㆍ월세 보증금 등 부동산 관련(27.7%) 부채를 지목했다. 또 생활비(24.3%)와 교육비(20.3%), 부채 상환(8.2%) 등도 빚을 늘릴 수 있는 원인으로 꼽았다.

한편 올해 3월말 기준으로 금융부채와 임대보증금을 포함한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는 5818만원으로 전년보다 6.8%증가했다. 금융부채가 전년보다 0.6%포인트 증가하면서 6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빚을 보유한 가구도 전체 가구의 66.9%로 전년보다 1.8%포인트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