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 2011년 12월에 ‘고양시 응급의료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市 직접시설과 위탁시설을 대상으로 자동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시설로 정한 이후, 2012년에 시청을 비롯한 26개 시설에 설치하였고, 2013년에는 주민센터․도서관센터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체육시설, 복지회관, 장애인보호시설 등 78개 시설에 설치를 완료했다.
자동심장제세동기에 대한 정보는 응급의료정보센터 및 시 홈페이지와 보건소 홈페이지에 게시하며 응급의료정보센터에 등록되어 사용실적 등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자동심장제세동기 설치장소의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매월 장비를 점검하고, 장비 사용과 관리에 대한 설명회 및 응급처치교육을 실시하여 유사시 이상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게 된다.
자동심장제세동기(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는 부정맥을 보이는 환자의 가슴에 전기패드를 부착하고 일정량의 전기 충격을 줌으로써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의료기기를 말하며, ‘자동심장충격기’라고도 부른다.
고양시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에 설치한 자동심장제세동기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누구든지 음성안내에 따라 장비를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며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통해 소중한 시민의 생명 보호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