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연평도 도발 3년…"서북도서 군사적 대응 크게 개선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20 09: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스파이크 미사일 배치 완료…전술비행선 연말께 전력화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지난 2010년 발생한 '연평도 포격전' 이후 서북도서의 군사적 대응능력이 크게 개선됐다고 20일 군 관계자가 연합뉴스를 통해 밝혔다.

군 당국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지리적으로 취약한 서북도서 방어를 위해 전력증강 계획을 수립했고 3년이 지난 현재 서북도서 전력보강 사업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우선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2011년 8월 창설됐고 예하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 등에 병력 1200여명이 추가 배치됐다.

포격전 당시 유일한 대응수단이었던 K-9 자주포(사거리 40㎞)의 문수는 2~3배 늘었다.

다연장 로켓, 신형 대포병레이더(ARTHUR), 코브라 공격헬기, K-10 탄약운반차량 등도 서북도서에 신규 혹은 추가 배치됐다.

북한의 해안포를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스파이크 미사일은 지난 5월에 전력화가 완료됐다.

사거리 20여㎞, 중량 70㎏인 스파이크 미사일은 은닉된 갱도 속 해안포를 정밀 타격하는 성능을 갖췄다. 한 발의 가격은 2억∼3억원이다.

서북도서 지역 감시·정찰 능력 강화를 위해 추진돼온 전술비행선 도입 사업도 올해 말 혹은 내년 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배치된 병력과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서북도서 요새화 작업도 지난해 1단계 사업이 완료됐고 2015년까지 2단계 사업이 진행된다.

요새화 작업 과정에서 K-9 자주포 진지와 격납고에 대한 보강이 이뤄졌고, 진지·교통호 유개화(콘크리트 지붕 덮기) 공사도 진행됐다.

해병대의 한 관계자는 "3년 전 연평도 포격전 당시에는 서북도서 대응전력이 K-9 자주포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다연장 로켓, 스파이크 미사일, 공격헬기 등 타격수단이 다양해졌다"고 밝혔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