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25/20131125141729980057.jpg)
‘창조제주’를 키워드로 일찌감치 새누리당 도지사 후보로 출사표를 던진 김 이사장은 25일 도의회 도민의방에서 ‘창조제주 구현을 위한 비전과 정책발표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이사장은 “현재 제주 사회가 한중FTA로 인한 1차 산업 위기, 재선충과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위기, 여유법 시행에 따른 관광 위기 등 3대 위기를 맞고 있다”며 포문을 열었다.
이어 “더 큰 위기는 제주 사회가 사후약방문 식으로 현안을 뒤로 미루고 정쟁에 치우쳐있는 것”이라고 질책했다.
그는 ‘창조제주 비전 2020+’를 제시하며, 그 첫 걸음으로 ‘관광 국제화 전략’을 강조했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제주 동-서 2개 지역에 글로벌스케일 체류형 국제정규 여객항을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이사장은 “지금까지 제주 크루즈 여행은 시간 때우기 중간 기항지 형태였다” 면서 “왔다가 금방 떠나는 크루즈여객항이 아닌 국제 정기 여객항 개발이 절대적으로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과 일본, 러시아를 대상으로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인프라 일환으로 국제 정기 여객항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와함께 ‘제주 동-서 국제 정기 여객항 사업’이 민자 유치를 통해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예산 확보, 타당성 조사, 사업 추진 기간 장기화 등 애로 사항으로 볼 때 국책사업보다 오히려 민자유치가 훨씬 수월하다고 제시했다.
이어 김 이사장은 제주 동-서 국제 정기 여객항 사업이 추진될 경우 △ 경제활성화 △ 생산유발효과 △ 제주 읍면지역 균형발전 △국제자유도시 완성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