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2/29/20131229131239978250.jpg)
<사진=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 모습>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동면현황을 조사한 결과 29마리 중 11마리가 동면에 들어갔다고 29일 밝혔다.
동면 여부 조사는 반달가슴곰에 부착된 발신기의 신호음으로 곰의 이동거리를 파악하고 움직임이 적은 곰은 직접 확인을 통해 이뤄진다.
곰의 동면시기는 개체별로 차이가 발생하지만 빠르면 11월말부터 시작된다. 이번 11마리 외에도 늦은 1월에는 나머지 곰들이 동면에 들어갈 것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추정하고 있다.
반달가슴곰이 동면에 들어가는 시기는 서식환경과 먹이량, 기상여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동면장소는 햇빛량과 기온 등 서식지 환경에 따라 선택하는 게 대부분이다.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 5~7월 반달가슴곰에 부착된 발신기 신호를 분석한 결과 암·수 2쌍이 지속적으로 함께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면 중 새끼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반달가슴곰은 12월말에서 1월초 겨울잠을 자는 동안 체내에서 비축한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출산과 양육을 하기 때문이다.
권철환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반달가슴곰 동면은 잠을 깊이 자는 것이 아니라 가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위험을 느끼게 되면 이동을 하기도 하며 암컷은 이때 새끼를 출산·양육하게 된다”며 “동면에 방해되지 않도록 샛길출입을 하지 말고 ‘야호’와 같은 소음을 내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