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해 11월 29일 당진시청 앞 광장에서 있었던 송전탑 추가건설 반대집회의 후속조치로 당진지역의 사회단체, 종교단체, 원로계, 여성계, 경제계, 이장단, 언론인 등 각계각층을 아우르는 범시민 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한 것이다.
당진에는 그동안 송전선로와 철탑의 추가 설치를 반대하는 여러 대책위원회가 구성됐으나, 지역․단체별로 각각 운영돼 체계적인 대응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범시민대책위원회가 구성되면 체계적인 대응방안 마련은 물론 철탑 추가설치 반대 당위성과 여론형성에도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에 따르면 오는 22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지역 내 10여 개 단체가 모여 대책위 구성준비 회의를 개최해 1월까지 대책위원회를 구성, 2월 중 출범 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책위가 구성되면 ▲추가 송전선로 반대 및 지중화, 해월 선로화 요구 ▲ 기존 송전선로 등에 대한 피해보상 범위 및 보상액 현실화 ▲사회적 비용이 반영된 전기요금체계 개편 ▲범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토론회 개최 ▲타 지역과의 공동 대응방안 모색 등에 나선다.
이철환 당진시장은 “이번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을 지역 님비주의로 보지 말고, 521개의 송전탑이 박혀있는 당진시민의 눈물어린 호소로 봐 달라”며 “관련법과 제도 정비, 지중화 등 대체 송전기술 개발 등의 원칙적인 해결방안을 서둘러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