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20대 매년 10만명 감소…'늙어가는 한국 경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19 12: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갈수록 더뎌지는 등 청년 일자리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하는 20~29세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1.6%에 그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707만명 가운데 469만명이 직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2013년에는 628만5000명 중 387만4000명이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년만에 82만명이 감소한 것이다. 연간으로 계산했을 때 약 10만명씩 일하는 청년들이 줄어든 셈이다.

이에 반해 학업이나 가사, 심신장애 등으로 일을 할 수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거나 능력이 안되는 비경제활동 청년인구 비율은 33.68%에서 38.36%로 늘었다.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축소는 특히 20대 초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세의 경제활동인구는 같은 기간 58.3%에서 47.6%로 떨어졌다. 10년전만해도 20대 초반대중 일하는 청년이 10명중 6명이었으나 지금은 5명도 채 안된다.

반면, 25~29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10년새 73.3%에서 74.1%로, 고용률은 68.5%에서 74.1%로 높아졌다.

실업률 추이는 비슷했다. 20~29세 실업률은 7.9%로 10년 전과 변함이 없었다. 연령대별로는 20~24세 실업률은 9.9%에서 9.2%로 낮아졌다.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면에 25~29세는 6.5%에서 7.1%로 높아졌다.

청년층 고용문제는 경제성장률 둔화와 산업고도화로 일자리 증가가 미미한 탓도 있지만 대학진학률이 올라가면서 좋은 일자리에 대한 과잉수요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일례로 20대 청년층의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이 2005년 1년 9개월에서 지난해 1년 7개월로 단축됐으며, 첫 일자리를 그만 둔 경우도 1년 5개월에서 1년 3개월로 줄어들었다.

이직 경험자들은 근로여건 불만족(45.1%), 개인·가족적 이유(18.7%) 등이 대부분이다. 20대 비정규직 근로자가 103만1천명에 달하는 점이 근로여건 불만족과 직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 공기업 등 안정적인 직장에 대한 선호는 꾸준히 증가해 전체 취업시험 준비자의 절반 가까이가 여기에 몰려 있다.

2013년 기준 15~29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541만7000명)중 취업시험 준비자는 11.3%(61만4000명)인데 공무원, 교원, 공영기업체, 언론사 등을 준비하는 비중이 45.4%에 이른다. 2011년 40.1%에서 5%포인트 높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