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재 방통위 위원장 “KBS, 수신료 인상안 공영방송 의지 보완해야”

  • 완전 공영 체제 로드맵 제시 주문

이경재 위원장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이 KBS 수신료 인상안에 대해 공영방송에 대한 의지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이 위원장은 20일 과천 인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 “검토안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광고를 궁극적으로 없애는 등 공영방송에 대한 의지 부족이 느껴진다”며 “로드맵이 분명해야 하고 광고를 올해 2160억원 줄이겠다는 데 2019년 완전 공영 체제로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이번에 KBS 수신료 인상안에 대해 다수의 보완을 주문하고 이를 국회에 심의 요청을 위해 전달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위원들이 수신료 인상안에 대해 토론하고 방향에 대해 의견교환을 할 것”이라며 “수신료 뿐만 아니라 요금 인상에는 좋은 반응이 있을 수 없는데 국회 논의 과정에서 국민들이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보조금 문제에 대해서는 “최근 단말기 보조금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조사 중”이라며 “심한 날도 있지만 합계로는 아직 심각하지는 않은 상황으로 구정을 앞두고 출렁거리지 않을까 예상하고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이 국회에 발의돼 있는데 최선의 해결책으로 나온 것”이라며 “최근 문제가 오히려 법안 정당화의 배경이 되지 않을까 하는데 아니면 제3의 방법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편성채널 재승인 일정에 대해서는 “자료를 수집 중으로 지난해 1년의 문제에 대한 보고서가 들어와 심의에 들어가 있는 상황으로 일부 행정조치를 취하고 심사를 할지 심사에 이를 반영할 지 내용을 판단해 결정할 예정”이라며 설명했다.

지상파 UHD 추진과 700MHz 용도 결정 문제에 대해 이 위원장은 “미국에서 열린 CES 전시회를 보고 온 양문석 위원 얘기는 방향을 잘 정한 것으로 본다”며 “지난 7월 미국 방문 때보다 전쟁이 간단치 않게 시작된 듯한데 대책을 세워야겠고 방통위가 아무것도 않는다고 하는데 자신들이 로드맵을 만들어 신청한다든가 해야 우선권을 줄지 심사할 문제로 예전보다 심각하게 논의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방문 결과에 대해 “중국의 방송총국장을 만나 양국 콘텐츠 교류와 관련해 최근 중국의 제한 움직임을 풀고 상호 개방하자고 제안했더니 국가적 상황이 있으니 공동 제작, 우회적 협력을 통한 방법이 있다고 제시하더라”며 “UHD TV에 대해 라스베가스 CES에서 한.중.일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어 한.중이 함께 기술협력을 하면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더니 좋은 의견이라는 얘기를 듣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이 위원장은 “선플운동은 CCTV와 4억명이 가입한 인민망에 소개되기도 했는데 인민망과 MOU를 맺고 양국이 우호 보도와 선플을 달도록 하는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며 “스촨성 대지진과 관련 1만개의 좋은 댓글에 대해 번영한 책과 모금액을 전달했더니 중국측에서 청소년문화원을 만들겠다고도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