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ㆍKB국민카드ㆍNH농협카드 전직 CEO 책임론 대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21 16: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왼쪽부터) 신충식 전 NH농협은행장, 최기의 전 KB국민카드 사장,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사진제공=각 사]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 카드 3사 개인정보 유출사태와 관련 현직 임원들의 줄사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 당시 재직했던 전직 최고경영자(CEO)들의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손경익 NH농협카드(NH농협은행 카드사업본부) 분사장이 고객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20일 자진 사퇴한 가운데 유출 당시 은행장인 신충식 전 농협은행장의 책임론이 공공연하게 흘러 나오고 있다.

재직 기간과 정보유출 기간이 겹치는 최기의 전 KB국민카드 사장과 국민카드 분사를 지휘한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도 직‧간접적인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 등 정보유출 사고를 일으킨 카드사 3곳에 대한 검사 결과에 따라 CEO 및 관련 임직원에게 최대 해임 권고 조치를 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수현 금감원장이 전날 임원회의에서 각 카드사가 속한 그룹에 관련자에 대한 문책을 촉구하자마자 심재오 국민카드 사장, 박상훈 롯데카드 사장, 손경익 농협카드 분사장 등 핵심 당사자 3명이 모두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해당 카드사 CEO에 대한 문책 조치가 자연스럽게 일단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보가 유출된 시기와 조직 편제를 감안할 때 전직 CEO에 대한 제재 절차가 남아 있다.

이미 자리에서 물러났더라도 금융당국으로부터 문책경고 이상의 제재를 받을 경우 3년간 금융사에 취업할 수 없어 거취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지난해 4월 메리츠금융지주로 복귀한 원명수 부회장은 메리츠화재 대표이사 재직 당시인 2010년 실손의료보험 불완전판매로 문책경고를 받아 정보기술(IT)업체 메리츠금융정보서비스, 시설관리업체 메리츠비즈니스서비스 등 비금융 계열사를 전전해야 했다.

지난 2012년 12월 정보가 유출된 농협카드의 경우 손경익 분사장은 농협은행 내에서 카드사업본부를 총괄하는 부행장일뿐 CEO는 신충식 전 행장이다.

일부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의 불똥이 신 전 행장에게까지 튀는 것을 막기 위해 손 분사장이 서둘러 자리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김주하 현 은행장이 신 전 은행장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기 위해 손 분사장의 조기사퇴를 종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지난해 7월 퇴임한 최기의 전 국민카드 사장도 정보 유출 시기가 같은 해 6월인 만큼 제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민카드를 통해 유출된 국민은행 고객의 개인정보가 2011년 카드사 분사 과정에서 넘어온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당시 국민은행 CEO인 민병덕 전 행장도 책임에서 자유롭기 힘들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사상 최대 규모의 이번 정보유출 사고는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제재 수위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전직 CEO들 모두 금감원의 검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