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무역관장의 신변이 확인됐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납치범과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협상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외교부 조태영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현재 피랍된 분을 가능한 한 조기에 무사히 귀환시키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전 방위적인 모든 노력을 다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한 관장과의 접촉 여부에 대해서는 안전을 이유로 “공식 확인한 내용에 대한 방법이나 구체적인 경로는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납치단체와 관련해서는 “정치적 목적의 테러 행위라고 예단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해 애초 우려한 알카에다 연계조직에 의한 정치적 목적보다는 치안 불안으로 리비아에서 자주 발생하는 금품 관련 납치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정치적인 목적의 납치일 경우 납치를 주도했다고 밝히는 단체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 같은 움직임이 없다는 점에서 금품 관련 납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일단 다각도로 가능성을 열어두고 한 관장을 안전하게 석방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일단 이번 사태의 조기 해결을 위해 주리비아 한국대사관을 통해 리비아 정부는 물론 리비아 인접국가 등과도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이 당국자는 “리비아 내부 사정에 밝고 여러가지 풍부한 접촉선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인근국 및 주요 우방과 긴밀히 정보를 공유하면서 필요한 협조를 제공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코트라는 리비아 인근 지중해 몰타에 사는 한 관장의 부인과 자녀들, 서울에 사는 부모에게 지금까지의 상황을 설명하고 모든 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