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이규하·김동욱·김정우·신희강 기자 =카드사 개인정보의 대규모 유출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 경제부처들도 국가핵심기술과 개인정보·기업의 주요 영업비밀 등을 보호하기 위한 철통보안에 나서고 있다.
22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산업자원통상부·공정거래위원회·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국세청 등 주요 경제부처들은 주기적인 보안 시스템 점검에 나서는 등 해킹 대응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해마다 끊임없는 개인정보 유출사태 등 해킹 사건이 되풀이되면서 주요 경제부처들도 철통 보안 강화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최근 농협카드·국민카드·롯데카드 등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터지자 자체적인 긴급 재점검에 나선 곳은 공정위다.
지난 20일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은 간부회의를 통해 보안 관련 사항을 재점검할 것을 주문하면서 보안관리 실태에 허점이 없는 지에 주력하고 있다. 정기적으로 기업집단 현황을 파악하는 공정위로써는 사건 조사에 수집된 개인정보와 기업의 주요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사항이 외부 노출될 경우 기업 피해 등 국가 경제 손실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공정위 시장감시국 등 주요 부서 출입문에 보안 게이트가 설치되는 등 정보보안 내부 지침이 만들어진 것도 이런 이유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올해부터 58개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정부 지원으로 개발된 국가핵심기술은 보유기관에 의무 등록되기 때문에 각별한 보안 강화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 기술보호 정책 강화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외부 해킹은 해외 기술유출을 비롯한 산업 전선에 커다란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국가핵심기술은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커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 안보와 국민경제 발전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기술이다.
최근 경찰청이 집계한 기술 유출 건을 보면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주요산업기술의 해외유출 시도가 총 202건에 달한다. 기술유출사범 검거도 2011년 기준 84건으로 전년대비 110% 늘었다. 그 중 해외유출만 전년대비 167%로 크게 증가한 추세다.
유형별로는 전직 직원을 통한 유출사례가 121건(6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직직원(41건), 협력업체(24건), 유치과학자(2건), 투자업체(2건) 등으로 집계됐다. 유출방법은 무단 반출, 인력 매수, 내부공모, 공동연구, 위장합작 등이 대부분이나 전산 해킹 침투도 무시할 수 없는 시국이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기술보호 장치나 인식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취약한 보안 등 기술유출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형국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기술보호설비 구축지원 및 원격 보안관제센터 등 기술 보유기관을 통해 보안역량을 강화하고 온라인 원격 보안관제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다.
또 산업기술보호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술관리, 기술유출 예방, 불법유출 대응을 위한 관련기관 간 공동대응체계도 구축한다.
기획재정부는 명실상부한 경제팀의 총괄부처인 만큼 내부적으로 중요한 문서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강력한 보안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국세청도 지난해 ‘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 전면개편 2단계 사업’을 추진하는 등 보안시스템 구축에 공을 들였다. 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구축 및 보안관제 서비스 체계 마련 등 방화벽(FW)과 침입방지시스템(IPS), 웹방화벽(WFW) 및 SSL가속기 등을 도입했다. 아울러 보안 관제를 위한 통합보안관리(ESM) 장비도 함께 도입할 계획이다.
국세청은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보안 시스템을 우선 구축하고 서버·DB·애플리케이션 등 인프라 부문별로 보안 장벽을 다시 쌓았다. 서버 보안의 경우는 서버 접근제어 및 윈도서버 보안체계를, DB보안에서는 DB암호화 및 DB 접근제어 시스템을 강화했다.
애플리케이션 보안은 모바일을 포함한 웹 구간 암호화를 비롯해 전자문서 위변조방지, XML전자서명, 이미지 및 문서 보안, 소스코드 취약점 진단 등 다방면에 보안 체계에 서두를 계획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대민 서비스가 이뤄지는 단말(PC 및 노트북, 스마트폰 등 모바일) 영역에 대한 정보보호도 강화한다”며 “세무정보가 개인정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개인정보 관리에 대한 보다 세밀한 시스템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