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주진 기자 =청와대는 민심의 풍향계가 될 설 연휴를 앞두고 카드사의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태와 조류 인플루엔자(AI) 전국적 확산 조짐이 국정 운영에 심각한 난맥상으로 작용할까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밝힌 경제혁신 등 집권2년차 국정 구상과 새해 첫 순방 성과가 이번 대형 악재들로 인해 빛이 바래지고, 민심 악화로 이어져 정권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의 1월 넷째 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53.5%으로 해외순방으로 주중반까지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카드 정보유출 사태 와 AI 확산, 기초선거 공천제 폐지 공약 백지화 논란으로 주후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여권은 민주당이 카드사태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등 2월 임시국회에서 정치 쟁점화할 움직임이어서 정부 책임론이 정국 이슈로 대두되면 악화된 민심이 6월 지방선거로 이어져 야권의 정권심판론에 힘이 실릴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
박 대통령이 설 명절을 나흘 앞둔 2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카드사의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태와 조류 인플루엔자(AI) 전국적 확산에 대해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 등 단호한 대책을 지시한 것도 민심 다독이기 차원이라는 해석이다.
박 대통령은 특히 "최근 공직자들의 적절치 못한 발언으로 국민 마음에 상처를 주고 불신을 키우고 있어 유감"이라며 재발시 문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상 초유의 카드사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건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대처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는데다가 현오석 경제부총리의 '실언' 파문으로 악재까지 더해지면서 청와대의 부담은 더욱 커진 상황이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정치권의 카드사태에 따른 쇄신 인사요구와 정부 책임론을 조기에 차단하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이 현오석 경제팀에 대해 '재발시 엄중 문책'이라는 인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경제팀의 교체론은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갈 전망이다. 다만 추가 피해 없이 카드사태가 진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재신임의 부가조건으로 달았다.
개인정보 유출에 이은 2차 피해, 정보 추가 유출 등 카드사태가 악화되면 경제팀 문책론은 물론 성과가 미흡한 일부 부처까지 이어지는 ‘도미노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은 일단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안보라는 두 가지 호재로 설 민심을 조금이나마 긍정적으로 되돌리는 데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도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고에 대한 정부 문책론에 입을 닫고, AI 확산 방지와 이산가족 상봉행사 추가 대책을 당부하며 설 민심을 챙겼다.
또 새누리당과 정부, 청와대는 28일 카드정보 대량유출과 AI 확산 사태와 관련, 긴급 당정청 대책회의를 갖고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