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올 겨울 들어서는 전력수요가 최대에 달한다는 1월 말에도 전력수급경보가 단 한차례도 발령되지 않았다.‘블랙아웃’에 대한 우려는 기우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
관련업계에서는 전력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해 한전과 한수원 등 에너지공기업들의 숨은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9일 산업부 및 관련 공기업에 따르면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원전 재가동 이후에도 원전 비리 재발을 막는데 주력하고 있다. 윤 장관은 수시로 한수원 고리본부를 방문해 원전 재가동 추진현황과 원전안전 관리 상황, 동계수급 대비 원전 특별관리대책 등도 직접 점검하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이와 함께 문 열고 난방영업 금지를 비롯해 공공기관 난방온도를 제한하는 등 동계 에너지 사용제한 조치는 물론, 중장기 원전산업 건전성 확보대책도 추진하고 있다.
한전 역시 조환익 사장이 직접 전화를 걸어 절전을 당부하는 등 전 직원들과 전사적인 절전활동을 펼쳐왔다. 지난해 8월 이후부터는 △절전규제 △지정기간 △주간예고 △전압조정 △현장절전 등 각종 수급대책을 정비하는 등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또 지난해 11월 전기요금을 평균 5.4% 인상하면서 올 겨울 평균 최대 전력수요는 7621만kW로 지난겨울(7625만kW)보다 소폭 감소하는 효과를 거뒀다. 전체 수요의 10∼20%를 차지하는 난방수요가 크게 줄면서 올 겨울 예비전력은 600~700만kW 수준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다.
원전 부품 비리로 전력난의 주범으로 뭇매를 맞은 한수원은 지난해 5월 이후부터 원전 재가동을 위한 사투를 벌였다. 고리본부의 10여명의 운전원들은 24시간 교대로 쉬지 않고 근무했으며, 케이블 교체와 품질서류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는 주민설명회도 열었다.
이 같은 각고의 노력이 주효한 탓에 지난달 14일 멈춰있던 원전 3기(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호기) 모두가 100% 재가동에 들어갔다. 219일만에 ‘잃어버린’ 전력 300만kW를 확보하게 되면서 올 겨울 전력수급에 결정적인 숨통을 틔우게 된 것이다.
전력거래소도 정부 및 발전사와 지속적인 협의, 폐지예정 발전기의 일정 조정, 신규 건설 발전기의 추적관리, 수요관리를 통한 수요 억제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수급 안정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한전 및 발전사들과 2월 중순까지를 전력수급대책기간을 설정하고 정부와 한전에 통합 전력수급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 겨울 평균 최대전력공급능력은 8400만kW로 작년에 비해 300~350가량 높다”며 “올해부터 대규모 발전설비가 준공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전력난에 대한 걱정은 차츰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준공되는 발전소는 총 16개에 달한다. 이들 가운데 한전 산하 발전5개 자회사가 준공하는 발전소는 총 4곳으로 발전 총량만 400만kW에 달할 전망이다.
남동발전의 영흥화력 5호기(86만kW급)가 지난달 28일 설비 점검을 이미 끝냈으며, 올 연말에는 6호기가 준공됨에 따라 수도권 전력 수요량의 약 22%를 담당할 예정이다.
동서발전 울산 제4복합화력(88만kW)의 또한 올해 7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남부발전 안동천연가스발전소와 서부발전 평택2복합화력(48만㎾급) 등이 올해 중 가동을 기다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