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용' 선포한 금융당국, 3월이 두려운 금융권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권의 위법 행위에 대해 엄중히 처벌하겠다고 경고한 가운데 이달 중 일부 금융사를 대상으로 대거 징계가 내려질 예정이다.

지난해부터 불거진 여러 불법·비리 행위를 비롯해 대규모 정보유출 사건 등에 연루된 금융사들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어느 수준의 징계를 받게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2014년도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업권별로 개최하면서 올해 감독 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금융권에서 여러 불미스런 사건·사고들이 발생하다보니 금감원 업무설명회의 핵심도 검사 및 징계 등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다.

금감원은 은행권에 부당행위가 적발될 경우 무기한 검사를 실시하고, 영업정지 등의 중징계를 내리겠다고 경고했다. 또 내부통제에 대한 시스템 점검 위주의 검사 대신 현장에서의 실제 작동 여부 확인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보험업계에도 고객정보관리, 소비자 권익침해 여부 등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하고 고의적으로 위법 행위를 할 경우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중히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아울러 소비자의 알 권리를 제고하고, 소비자 보호에 역행하는 불합리한 규제 및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동양그룹 기업어음 및 회사채 불완전판매로 많은 비판을 받았던 금융투자업계에 대해서도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부터 현장 중심의 검사 체계를 강화해 테마검사를 개편하고, '암행검사' 제도를 실시하기로 한 것이다.

이처럼 금감원이 올해 감독 및 징계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일부 금융사들 입장에선 당장 이번 달이 고비다. 금감원이 지난해부터 조사를 진행해 온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 및 금융지주사에 대한 징계가 이달 말 결정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1억여건의 고객정보를 유출한 KB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와 지난해 말 고객정보가 빠져나간 한국씨티은행,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등에 대한 징계도 이달 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했을 때 중징계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국민은행은 국민주택채권 횡령과 도쿄지점 부당대출 사건으로 수십명의 임직원이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은행은 2007년 파이시티 사업에 참여하면서 특정금전신탁을 불완전 판매한 혐의, 신한은행은 고객정보 불법조회 사건으로 제재를 받을 전망이다.

하나은행의 경우 하나캐피탈이 미래저축은행에 투자할 당시 불법행위가 적발돼 징계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고객정보 유출에 연루된 금융사들 중 3개 카드사는 3개월 영업정지 등의 강한 징계를 받았지만, 아직 징계 수준이 결정되지 않은 씨티은행과 SC은행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금융권에서 사건, 사고들이 많았고 국민들의 관심도 높았던만큼 금융당국이 징계 수위를 높이지 않겠냐"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