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맞춤공약’ 발굴 고심…각종 민생정책 개발 박차

새누리, “4월 초부터 윤곽”…지역경제 활성화에 초점
야권, ‘포스트 무상급식’ 고민…통합신당 이념 노선 변수


아주경제 김봉철·최신형·이병욱 기자 = 6·4 지방선거가 8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의 정책 대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 현재까지 여야 모두 내세울 만한 정책 공약은 보이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새누리당은 경선과 공천 방식 등 ‘게임의 룰’에,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통합신당 창당 작업에 발목이 잡혀 있어서다.

새누리당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중심으로 정책위 차원에서 공약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복지 체감 100℃ 점검단’(위원장 유일호 의원)을 구성하는 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책선거 확산을 위해 최근 전국 17개 시·도의 학회, 언론사, 시민단체로 구성된 매니페스토 추진협의체와 지역 어젠다를 조사한 결과, 1위를 차지한 이슈이기도 하다.

전체 170개 어젠다 중 24%인 40개를 기록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어 균형발전 및 도시개발이 19%인 32개, 의료와 복지가 18%인 31개 등으로 뒤를 이었다.

새누리당 안종범 정책위부의장은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아직 구체적으로 내놓기에는 (시기적으로) 이르다”면서도 “경제 살리기와 지방 살리기 등을 중심으로 4월 초부터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사회기반시설(SOC) 투자계획 등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을 주요 공약으로 전면 배치시킬 것으로 보인다.

야권의 경우에는 상황이 좀 더 복잡하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의 정당 노선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정책을 내놓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특히 야권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의 ‘무상급식’ 이슈를 능가하는 어젠다를 찾고 있다.

당시 야권은 이명박 정부의 심판론과 더불어 급식·보육·의료 등 이른바 ‘무상시리즈’와 반값등록금으로 정책 이슈를 선점했었다.

이번에는 김한길 대표의 취임 이후 가속화된 ‘우클릭’ 성향에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의 새정치연합의 중도·보수 색채가 더해진 정책 공약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장병완 정책위의장은 “지금 지방선거의 공약이 확정한 상태는 아니고 현재 작업 중”이라면서도 “기본적인 선거구도는 ‘약속파기 대 약속이행’ 구도로 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의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비롯한 각종 대선 공약 후퇴를 비판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트레이드마크인 ‘약속’과 ‘신뢰’를 정면 겨냥하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교통비·통신비 등 ‘국민생활비 경감’ 시리즈를 비롯해 교복값 인하 대책, 출산비 부담 지원 대책 등을 발표한 상태다.

장 정책위의장은 “박근혜 정부 들어서 노동·지방 등 (민생) 공약이 실종됐다”면서 “박 대통령의 중앙집권적인 생각과 반대로 민주당은 지역균형 발전, 민생차원의 생활정치를 전면에 내세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