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트위터ㆍ휴대전화 강제 차단 추진… "루머 막겠다"

카자흐스탄의 누르술탄 나자르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사진 신화사>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카자흐스탄 정부가 트위터 휴대전화 등을 강제로 차단하려는 것으로 밝혀졌다. 

10일(현지시간) 텡그리 뉴스에 따르면 개정 중인 '정보통신법'은 앞으로 카자흐 검창이 국가나 사회에 유해하다고 판단될 때 인터넷 및 통신 사업자에게 접속차단을 요청할 수 있다. 해당 사업자는 통보를 받고 1시간 이내 사용자의 접속을 차단해야 한다. 

카자흐 당국은 루머로 인한 사회 혼란을 막기 위한 노력이라고 주장했다. 당국은 자국통화인 텡게화의 달러 환율를 20%나 올리면서 시중 은행이 파산할 것이란 루머가 확산됐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휴대전화 메시지를 통해 확산, 대규모 예금 인출사태가 빚어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법 개정이 인권을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누르술탄 나자르 바예프 대통령은 20여년째 장기 집권하면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