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66% "정부 획일적 평가, 대학 망친다"

  • 교수신문, 교수 175명 설문 결과…88% “대학별 세분화 평가 필요”

아주경제 한병규 기자 = 대학교수 3명 중 2명은 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대학평가가 대학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신문이 전국 대학 기획처장 46명, 교무처장 29명, 교수(협의)회 회장 56명, 대학평가 전문가 교수 44명 등 175명을 대상으로 '교육부 대학구조개혁 평가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설문 대상 교수의 66.3%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대학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너무나 획일적인 평가로 인해 오히려 대학 발전이 저해될 수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모든 대학을 절대평가해 5개 등급을 분류하고서 등급별로 정원을 감축하는 교육부의 방안에 대해 좀 더 많은 72.0%가 '타당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80.6%는 대학구조개혁과 연계한 대학 특성화 정책이 대학의 행정력을 낭비하고 대학교육을 취업준비기관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설문에 응한 대다수인 91.5%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주요 목적이 '정원 감축'에 있다고 봤으며, 91.4%는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앞서 부실 대학부터 과감하게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아 눈길을 끌었다.

또 평가를 한다면 '대학 소재지와 설립 유형, 규모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야 한다'(88.0%)고 지적했다.

대학 특성에 따른 차별화 방안으로 국·공립대와 사립대간 구분에 대한 동의가 88.0%로 가장 높았다. 국·공립대 교수의 73.5%, 사립대는 93.7%가 이 같은 구분에 공감했다.

연구중심·교육중심·산학협력중심 등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데에도 85.7%가 찬성했다.

대학교수의 80.0%는 수도권과 지방대를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고 봤지만 수도권과 지방간 의견 차가 상당했다.

수도권 대학의 교수는 수도권·지방 구분에 동의하는 비율이 38.5%에 불과했지만 지방대 교수의 97.6%는 이 같은 구분에 찬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