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측은 개장 지연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장 오는 4일부터 시민 개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3일 "서울시가 결정한 프리오픈(Pre-open) 기간에 충실하게 점검을 받겠다"며 "제2롯데월드에는 최근 40개월간 4만명이 견학차 다녀간 만큼 내일 당장이라도 문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롯데측은 수백억원의 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교통대책을 포함해 서울시가 지적한 82개 보완과제를 모두 이행했음에도 승인이 미뤄진 데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롯데그룹은 "그동안 서울시가 지적한 사항에 대해 철저한 보완조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시사용 승인 결정이 미뤄져 아쉽다"며 "안전·교통 대책은 그동안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검증을 받아왔던 사안인 만큼 점검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방재실 운영과 재난유형별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는 시민 자문단의 지적에 따라 진행될 종합방재훈련은 실제 영업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진행되는 것은 무의미 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여론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날 서울시의 임시개장 승인 보류로 이달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저층부 임시개장 지연으로 한달에 롯데 측에 발생하는 손실은 9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롯데의 또 다른 관계자는 "임시개장이 지연됨에 따라 입점 업체와 취업자들의 손해도 불가피하다"고 토로했다.
롯데가 저층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프로그램은 현장 안전 등을 고려, 시민들의 신청을 받아 하루 7∼8회 현장 방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그룹은 "시민개방 프로그램은 4일부터도 가능하나 구체적인 일정 및 방법은 서울시와 협의 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