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양고기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양 사육농가와 사육두수가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될 경우 호주산 양고기에 그동안 적용해온 22.5%의 관세율이 10년후에는 아예 철폐되기 때문에 국내 양 사육농가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28일 농협경제연구소와 관세청에 따르면 양고기 전체 수입액은 2000년(398만8000달러) 이후 2013년(2621만3000달러)까지 연평균 15.6%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들어 지난 9월말까지 수입액은 2927만8000달러로 작년 전체 수입액보다 306만5000달러를 이미 초과한 상태다.
올해 호주산 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92.4%에 달했다.
반면 국내 양 사육농가는 2000년 이후 연평균 11.2% 감소하는 추세이고 사육두수도 연 평균 4.5%씩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농협경제연구소 관계자는 "호주와의 FTA가 올해 체결되면 양고기에 적용되는 22.5% 관세율이 10년뒤면 철폐된다"면서 "호주산 양고기수입증가와 국내산 육류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될 경우 호주산 양고기에 그동안 적용해온 22.5%의 관세율이 10년후에는 아예 철폐되기 때문에 국내 양 사육농가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28일 농협경제연구소와 관세청에 따르면 양고기 전체 수입액은 2000년(398만8000달러) 이후 2013년(2621만3000달러)까지 연평균 15.6%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들어 지난 9월말까지 수입액은 2927만8000달러로 작년 전체 수입액보다 306만5000달러를 이미 초과한 상태다.
반면 국내 양 사육농가는 2000년 이후 연평균 11.2% 감소하는 추세이고 사육두수도 연 평균 4.5%씩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농협경제연구소 관계자는 "호주와의 FTA가 올해 체결되면 양고기에 적용되는 22.5% 관세율이 10년뒤면 철폐된다"면서 "호주산 양고기수입증가와 국내산 육류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