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환자 52만명 넘어…치료 방법은?

[사진=서일석정신건강의학과]

아주경제 최승현 기자 = 불안·공황장애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에서 불안·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인구는 52만명을 넘어섰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엄습하는 불안, 즉 공황발작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닥치지도 않을 위험을 걱정하고 최악의 사태를 상상한다.

원인으로는 생물학적인 원인과 정신사회적 원인으로 나뉜다. 생물학적 원인은 유전이론, 청반이론, 대사이론 등 여러 이유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 중 유전이론에 따르면 직계가족에서 발병률이 최고 8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사회적으로는 내성적이거나 성취욕이 높고 완벽지향적인 성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신경정신과전문의 서일석 박사(부산 서일석정신건강의학과 대표원장)는 "공황장애는 제대로 치료 받지 않으면 만성이 되는 경우가 많고, 그 중 ⅓ 가량에서 광장공포증이 동반된다"며 "공황장애는 정신적 질환뿐 아니라 어지러움증, 가슴떨림, 호흡곤란, 소화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을 함께 일으키기 때문에 증상이 반복될 경우 불안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황장애치료 방법으로는 환자가 가지고 있는 왜곡된 생각을 찾아 교정하는 '인지행동치료'와 공황발작 자체를 억제하고 우울 등의 합병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치료'가 대표적이다. 임신 중이거나 약물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경두개자기자극치료술과 뉴로피드백, 라이트테라피 치료를 통해 완치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