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개천절민족공동행사준비위원회와 정부 소식통 등에 따르면 북측은 최근 남측 준비위에 전통문을 보내 노동당 창건 70주년 행사 준비 등으로 인해 개천절 남북공동행사를 개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남북 민간교류 활성화 등의 내용이 담긴 '8·25 합의'를 계기로 추진되던 10·3 개천절 남북 공동행사가 북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전해졌다.[사진=통일부 제공 영상 캡쳐]
남측 준비위는 남측 인원의 방북이 어려우면 북측 인원이 서울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공동행사를 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북측이 이에 대해서도 난색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 준비위의 한 관계자는 "북측이 난색을 보인 만큼 방북단 규모를 줄이는 방안 등의 수정제안을 해 놓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남측 준비위가 북측에 수정제안을 했지만, 북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볼 때 개천절 남북공동행사가 성사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남과 북은 지난달 8·25 합의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민간교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합의했지만, 북측은 그 이후에도 남측 민간단체들의 교류협력 제안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여기에는 북한이 내달 10일 노동절 창건 70주년 기념행사 준비에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는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남북은 2002, 2003, 2005년에 개천절 공동 기념행사를 가졌고, 지난해에는 남측 인사들이 평양을 방문해 단군릉에서 열린 개천절 민족공동행사에 참석했다.
올해 개천절 행사는 평양과 서울에서 각자 개최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