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국은행 제공]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9월 시중의 총유동성(Lf·평잔 기준)에서 현금과 인출이 자유로운 수시입출식 예금, 요구불 예금을 합친 협의통화(M1)가 차지하는 비중은 22.01%에 달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16.8%에서 2011년 20%를 넘어섰다가, 2012년에 하락하기도 했으나 이후 점차 올라 지난해 12월 20.4%를 기록하며 20%를 다시 돌파했다.
M1은 현금과 수시 인출이 자유로운 금융상품의 잔액만을 합친 것으로 언제라도 움직일 수 있는 단기성 자금이다.
M1의 잔액은 9월(평잔기준) 672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4% 증가했다.
지난 1월의 평잔이 573조8000억원을 기록, 불과 9개월 간 100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단기자금이 급증한 것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 금리가 떨어져 이자수익에 대한 기대치가 낮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돈을 수시로 찾을 수 있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잔액은 9월 422조2570억원에 달했고 올해 들어 매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향후 투자가 위축되고 현금성 자산이 늘어나는 현상은 심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