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형록 현대중공업 21대 노조위원장 [사진=현대중공업 노조 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신임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의 취임식이 오는 8일 열릴 예정인 가운데, 노조측이 한층 강화된 투쟁안을 내놓고 행동에 돌입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6일 조선업계와 현대중공업 노조 등에 따르면 노조는 지난 10월 말 백형록 신임 노조위원장(사진)의 선출과 함께 제21대 집행부 구성을 마무리하고, 이달 1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특히 오는 8일 백형록 위원장의 취임식이 열린 예정인 가운데 노조의 움직임은 이번 행사를 기점으로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우선 2015년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데다, 선거기간 중 내걸었던 공약에 대한 이행작업에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조선업계는 새로운 노조위원장의 등장으로 노사관계가 오히려 더 악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백 위원장은 지난 20대 집행부가 속한 ‘전진하는 노동자회’ 의장 출신으로 강성노조 성향이 짙다. 당시 후보로 출마하며 내세운 공약이 정부가 추진중인 임금피크제 반대, 임금인상과 더불어 현대중공업의 경영권 참여까지 주장했기 때문이다.
백 위원장은 1일자 노조 신문에 취임사를 통해 “현중사업장은 대기업으로서는 부끄럽게도 이미 최저 임금 사업장이란 불명예를 안고 있다”면서 “아울러 근속 30년이 넘은 선배노동자들 역시 고정임금은 공공 부문과 여타 대기업에 비할 수 없을 정도로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어 “21대 집행부는 내적으로 회사 경영진의 각성과 2015년 임금협상 해결을 촉구할 것”이라며 “밖으로는 노동법 개악 저지를 위해 전국 노동자들과 함께 투쟁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한 바 있다.
백 위원장은 선거기간동안 공약으로 임금삭감 없는 정년 60세 도입과 사외이사 임명권 확보를 골자로 한 △인사위원회 노사 동수 △조합원 전환배치 △고용관련 단체협약의 ‘협의’를 ‘합의’로 변경 △아웃소싱과 물량이동 반대 △노동법 위반 사내협력사 삼진아웃제 도입 △정규직과 비정규직 성과급 동일 지급 △노조에 정치위원회 구성 △퇴직지원센터 운영 △퇴직자 교육을 위한 노사공동위원회 구성 등을 내걸었다.
또한 백 위원장의 이력에서 알 수 있듯 현장중심의 강한 노조를 추구하는 점도 노조의 행보를 짐작할 수 있다.
백 위원장은 지난 1994년 혁명적국제사회주의노동자동맹(혁사모) 사건과 관련해 구속될 당시 ‘현장모임이 굳건한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해온 활동가로 알려졌다. 즉 강성노조 성향과 함께 현장 투쟁을 내세워 활발한 움직임이 예상된다. 당시 혁사모는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아래로부터의 노동자 투쟁을 촉구해온 단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21대 노조집행부가 20대에 이어 강성으로 선출된 배경이 노동자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만큼, 노조측도 행동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노사관계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다른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임단협에서 임금을 동결하거나 인상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마무리 지은 만큼 부담이 크다”면서 “현재 조선업계 상황을 봤을 때 일정부분 타협안을 찾을 수 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