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선거구획정 기준의 합의안 도출을 위한 여야 회동에 참석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20대 총선 때 적용할 선거구 획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여야 지도부는 6일 선거구 획정 기준 협상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협상을 마쳤다. 이에 따라 선거구 획정이 20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인 오는 15일을 넘길 공산이 커지게 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원유철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만나 선거구획정을 논의했으나, 20분 만에 성과 없이 회동을 마쳤다. 이들은 다음 회동 날짜도 잡지 못한 채 헤어졌다.
새누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비롯해 이병석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중재안 등에 반대한 뒤 ‘지역구 7석 증원-비례대표 7석 감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랜 B’로는 현행 안(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을 원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새정치연합은 최소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김무성 대표는 회동 직후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이병석 정개특별위원장이 제안한 연동제는 현재의 권력구조와 맞지 않아 받을 수 없다고 했다”며 “지역구 숫자가 변화하는 만큼 비례대표 숫자를 줄여 조정하자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대표는 “여당에서 변화된 것을 가져오지 않으면 만나봐야 소용없는 상황이 됐다”며 “새누리당이 자기들 안을 만들어야 하는 만큼 (협상 무산은) 여당의 책임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