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아주경제DB]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올해 1.8% 인상됐었던 항만시설사용료가 해운업 장기 불황 등을 고려, 내년에는 동결됐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 무역항의 항만시설 사용료 동결을 골자로 한 항만시설 사용료 규정을 31일 개정 고시 한다고 30일 밝혔다.
항만시설 사용료는 입·출항 선박이 항로와 정박지 등 항만시설을 사용한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며 항만을 건설하고 시설을 유지·보수하는데 재투입된다.
이에 따라 부산항, 인천항 등 전국 31개 무역항에서 항만시설을 사용하면 선박입출항료, 화물입출항료 등 사용료를 현행대로 내면 된다.
다만 사용료 감면 대상 중 일부 감면율은 차례대로 축소한다.
지난해 전국 31개 무역항에서 징수된 항만시설 사용료는 6648억원이며 부산항이 2836억원으로 42%를 차지했다.
한편 해수부는 지난해 9월 지자체에서 관리 권한을 넘겨받은 울릉도, 흑산도항 등 국가에서 관리하는 9개 연안항의 항만시설 사용료 징수체계를 마련했다.
이 항만들은 올해까지 한시적으로 기존 지자체 조례에 따른 사용료를 부과했다.
내년부터는 전국 연안항 사용료의 평균값을 적용한 새로운 요율과 부과기준이 적용된다.
해수부는 국가관리 연안항에 대해 석 달의 홍보기간을 거쳐 내년 4월1일 입항선박부터 새로운 요율을 적용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